경제가 성장하려면 경기가 좋아져야 합니다. 그러나, 경기가 좋아지면 대게 곧이어 물가가 오릅니다. 물가가 뛰면 그만큼 돈 가치가 떨어집니다. 가령 에어컨 값이 1대 1백만 원이라고 하면 1백만 원이라는 돈의 가치는 에어컨 1대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에어컨 값이 1대 2백만 원으로 뛴다면 어떻게 될까요. 1백만 원의 가치는 이제 에어컨 한 대의 절반 가치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돈 가치란 물가가 오르는 만큼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돈 가치가 떨어지면 같은 돈으로 상품을 살 수 있는 능력 곧 구매력도 전보다 낮아집니다. 따라서 돈 가치가 떨어지는 만큼 사람들이 지닌 화폐 현찰의 재산 가치도 실질적으로 줄어드는 셈입니다. 수요가 공급을 웃돌면 초기에는 경기가 좋아집니다. 그러나, 수요가 공급을 지나치게 웃돌면 물가 상승세가 갈수록 심해집니다. 물가가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계속 오르는 현상이 심해진 상태를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흔히 줄여서 인플레라고 부르는 경제 현상입니다. 다만 물가가 얼마나 빨리 오르면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는지 어느 정도 기간에 몇 % 이상 오르면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지 정확한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만큼 현실에서는 여느 때와 비교해 물가 상승이 심한지 아닌지로 인플레이션이 생겼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밖에 없습니다. 자연히 인플레이션의 발생 여부를 놓고도 의견이 엇갈릴 때가 많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면 그에 비례해 돈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극단적으로 심하게 진행될 때는 아침에 1천 원 하던 상품이 저녁에 3천 원 할 정도로 하루에도 물건 값이 네댓 번씩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이 정도가 되면 사람들이 돈도 믿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돈을 빌려주기도 혹은 빌리기도 어려워져 기업 활동과 경제 활동이 제대로 돌아가지 못합니다. 그 결과로 경제가 뒷걸음질치고 사회가 불안해집니다.
발생하는 원인은 원자재나 임금 같은 생산원가가 오르는 탓에 찾아오는 비용 인플레이션과 흔히 경기가 과열되어 수요가 공급을 크게 웃돌 때 나타나는 수요 인플레이션입니다.
'과학 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에서 희소성의 원칙이란? (0) | 2022.01.26 |
---|---|
수력 발전,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의 원리와 연료 (0) | 2022.01.23 |
재정정책 조세정책의 개념과 정의 (0) | 2022.01.13 |
기후 변화에 따른 오늘날 과학적 정책 (0) | 2021.12.06 |
경제학, 문화적 시각에 따른 한류 현상 분석 (0) | 2021.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