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세상

물가안정을 위한 방법(임금, 가격관리, 수요, 통화관리)

300x250

 정부와 중앙은행이 물가를 안정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임금과 가격을 일정 수준 이상 오르지 못하도록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시중에 풀려 있는 돈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거나 재정과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이는 세금을 조절하며 나라 전체의 수요를 알맞은 수준으로 안정시키는 것입니다. 물가상승 요인 중 공급 가격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주요 생산비용의 하나인 임금이나 제품 가격을 직접 관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정부가 노동조합과 경영자단체 사이에서 임금 상승폭에 대해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고 기업가와 노동조합이 이를 지키도록 설득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권장이 여의치 않을 경우 정부로서는 임금이나 가격을 일방적으로 묶어 놓고, 올라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물가상승을 억제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직접관리방식은 일시적으로 시간을 벌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습니다. 직접적인 물가관리 정책은 인플레이션이라는 질병의 발생 원인을 극본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겉으로 드러난 증세만을 치료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라 전체의 공급능력보다 수요가 많아지면 물가가 오르게 된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나라 전체의 공급을 늘리거나 수요를 줄이면 물가상승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나라 전체의 공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농산물을 더 많이 재배하거나 공장을 많이 지어 물건을 대량 생산해야 합니다. 나라 전체의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돈의 양이기 때문에 수요를 관리하는 데는 나라의 경제 상황에 맞춰 돈의 양과 금리 수준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처럼 물가가 상승 기미를 보일 경우 재정이나 돈의 양 또는 금리를 조절하여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정책을 총수요 억제정책이라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