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세상

의사, 약사, 변호사, 과학자, 교수 전문직의 윤리 의식과 사명감

300x250

오늘날 산업사회가 단순한 자본과 근로의 두 요소로 성장 발달할 수 없고 여기에 문명의 힘이 합쳐질 때 비로소 그 실을 거둘 수 있는 것이라면 전문직의 윤리문제는 바로 그 사회의 운명과도 직결되는 일입니다.

 

사례

1. 자기 직업에 대한 긍지와 사명감 결여의 문제입니다. 의료는 인술이며, 변호사는 인권 옹호의 기수이고, 언론은 사회의 목탁이며, 과학자는 문명의 창조자라는 사명의식 없이 그 직업의 비영리성을 시인할 수 없습니다.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서 직업의 대규모화 현상은 그 종사자들을 급료에 매달리는 사무원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병원의 대형화, 변호사는 대기업에 고용 내지 법률회사의 구성원, 기자는 신문사라는 조직의 일원, 과학자는 국가기관이나 대기업의 사업목표에 추종만 하게 되면서 모두 조직 논리에 안에서만 움직여 직업윤리 의식이 희박하게 됩니다.

 

2. 직업윤리의 개념은 원래 일정 직업 종사자 간에 그 직업에 대해 어떤 윤리적, 도덕적 가치를 부여하는 가에 있는 것이며, 그 직업 종사가 각자가 그 자작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이를 형성하고 실천해야 하는 것이며 법에 의한 규제 등과 같은 타율적 규제는 자주성, 자발성을 억압하며 나아가서는 그 직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자각을 잃게 하여 버립니다. 전문직의 특성에 독립성, 자주성이 강조되는 전문직에게 그 어느 직업보다도 사회적 책임이 크게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3. 첫번째와 관련된 일이기도 한데, 전문직의 특성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 직업과 경제적 이익과의 관련성에 관한 의식 문제가 있습니다. 전문직에도 기본적 인권으로서의 휴식권이 있으며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을 권리를 점유하고 있음은 물론입니다. 그러나, 자기 직업에 대한 깊은 의식 속에 상정한 자기 규제는 결코 자신에 대한 권리 침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과거에는 전문직은 전문화된 교육을 통하여 일정한 자격, 면허를 획득함으로써 독점적으로 전문적 지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직업이라고 정의함으로써 전문직은 의사, 교수, 변호사, 목사 등과 같은 직업을 주로 일컬어 왔지만, 오늘날에는 세무사, 공인회계사, 엔지니어, 약사, 전문 경영인 등과 같이 특정한 전문적 지식, 기술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많은 직업들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전문직 종사자들의 직업 윤리가 특별하게 중요하게 강조되는 이유가 그 직업이 가지는 전문성, 독점성 때문입니다.

 

전문직의 특성은 다른 어떤 직업보다도 더 높은 수준의 윤리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전문적 지식, 기술이 비윤리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사회적 결과 및 해독은 더욱 큰 것이기 때문입니다. 전문직 종사자들은 더욱 높은 윤리 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직업 활동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 사회적 요청입니다.

 

 

나가며

전문직의 윤리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자율적 조직에 의해 자율적으로 규제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전문직 종사자들이 그만큼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는 사람들이므로 자율적으로 윤리 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것으로 사회가 인정해 주기 때문입니다.

 

전문직 종사자들은 스스로 높은 수준의 직업윤리를 실천해야 하며 그렇지 못할 때는 전문직의 공신력이 떨어져 사회적으로 존경받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직업활동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스스로 자초할 수도 있습니다. 정부는 더욱 강력한 공식적 통제를 마련할 것이고, 소비자들은 소비자 단체를 조직해 그에 대항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