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세상

인도의 종교, 지형, 카스트제도, 언어

300x250

인도의 지형적 위치, 기후, 사용 언어, 카스트제도 발생 배경

 

인도의 언어는 힌디어, 종교는 힌두교, 카스트제도(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

 

 인도는 중동 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북의 길이가 3,219km에 달하는 광대한 영토를 지닌 나라입니다. 기후는 지역 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부분 지역이 열대 몬순형 기후이고 5-10월에는 연평균 강수량이 많아 벼를 많이 재배하고 있습니다. 지형은 히말라야 산맥, 인도 대평원, 데칸 고원, 해안과 도서의 4대 지형구로 되어 있습니다. 히말라야 산맥은 산악지대로 최고 품질의 홍차가 나오며, 인도 대평원은 북인도 갠지스 강 유역과 브라마푸트라 강을 주된 수계로 밀이 생산되는 지역입니다. 데칸 고원은 인도의 남반부를 차지하고 사바나 기후를 띱니다. 해안과 도서지방은 해산물의 이용이 많으며 하천유역에 넓은 평야가 발달되어 쌀이 많이 생산됩니다.

 

 종교는 인도인들의 80% 이상이 힌두교를 믿습니다. 아리아족의 원시종교인 베다교에서 발달하였고 아리아인의 종교는 자연신을 숭배하는 브라만교로 신에게 제사 지내는 의식을 담당한 사제 계급인 브라만을 중심으로 제사의식과 신에 대한 찬양 등이 집대성된 베다문화로 형성되었습니다. 브라만교는 힌두교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기원전 7세기경부터 인도에 불교가 퍼졌고, 4세기경 브라만교, 불교, 토착 민간신앙이 융합된 힌두교가 굽타왕조의 국교로 지정되면서 종파의 형태로 정비되어 발전하였습니다. 힌두교에서는 정갈한 식품과 부정한 식품의 구분이 엄격해지면서 육식을 불결하게 생각해 신분이 높은 계층에서 채식을 선호하면서 자연스럽게 채식주의 식생활이 인도 전역에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유라시아 스텝지역으로부터 중앙아시아 유목민이 아리아인이 인도 대륙으로 침입하여 점차 인도의 지배층을 이루었습니다. 지금의 인도와 파키스탄 국경지방인 펀자브 지역을 정복하고 인도문화에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되었습니다. 아리아인들은 원주민인 드라비다인을 정복하고 동화시켜 가는 과정에서 사회계급제도인 카스트제도를 확립하였으며 자신들이 카스트의 상부를 형성하였습니다. 사회계급을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4계급으로 나누며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도인들은 태어날 때부터 특정 카스트에 속하게 되며 결혼과 직업 선택 역시 동일한 카스트 내에서 이루어집니다. 헌법상으로 카스트제도는 폐지되었으나, 여전히 인도사회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도에서는 각 지방마다 다양한 인종과 더불어 180여 종이 넘는 언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헌법으로 인정한 지역별 공용어만도 22종입니다. 힌디어가 저네 인구의 38.7%가 사용하고 있는 연방 공용어입니다. 영어는 공용어에는 해당하지 않으나 의회, 사법부, 행정부 및 사회 각 분야에 널리 사용하고 있고, 고학력층에서는 영어를 일상적인 언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